동영상 버전은 여기에서 보세요.
 
지난 블랙햇 SEO 강의 중 자신들의 오리지널 컨텐츠가 아니라 다른 사이트들의 컨텐츠를 긁어와서 웹사이트를 채우는, Scraped Content라는 기법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사이트들의 목적이 부정한 광고수익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그와 관련된 내용을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들에 광고들이 붙어 있습니다. 구글, 카카오, 타게팅게이츠 등 광고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소스를 우리 채널에 붙이면 그쪽에 집행되는 광고가 노출이 되고요, 우리 채널에서 사용자가 그 광고를 클릭하면 그 네트워크들은 우리에게도 광고비의 일부를 공유합니다.
작년 기준으로 가장 많은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거둔 사람은 세계적인 테크 블로그인 Mashable을 운영하는 Pete Cashmore로, 월평균 백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와… 이름이 캐쉬모어야…)
 

클릭 사기(Click Fraud)란?

방문자가 많고, 방문자들에게 매력적인 광고가 많이 붙어서 수익이 잘 나오기를 바라지만 생각만큼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욕심이 많고 마음이 비뚫어진 사람들은 부정한 방법을 생각합니다. 바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허위 클릭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바로 클릭 사기(Click Fraud)입니다. 클릭에 대한 유형이 가장 많기 때문에 클릭 사기라고 하지만, 노출형 과금 상품에는 노출 사기, 동영상 조회형 과금 상품에는 시청 사기도 존재합니다. 모두 같은 카테고리입니다. 
 
가장 흔한 클릭 사기 유형은 봇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Scraped Content와 더해진다면 아주 강력한 클릭 사기가 되겠지요. 앱에서 이루어지는 클릭 사기와 봇을 포함한 프로그램형 사기 클릭은 전체의 절반이 넘습니다.
사람에 의한 클릭 사기도 이루어지나, 이것은 자신의 광고 수익을 위해 사용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방식의 특성상 대형으로 이루어지기도 힘듭니다.
 

클릭 사기 관련 통계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매체의 집행이 늘어난 2020년, 이 클릭 사기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 클릭 사기를 막아내는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인 PPC Protect는 10억건의 광고 클릭과 1,000억건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몇가지 인사이트를 발표했는데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검색 광고 클릭의 11%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
  • 디스플레이 광고 클릭의 36%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
  • TV 연계 디지털 광고상품인 CTV 노출의 17%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노출
  • 13%의 계정만 사기 또는 부적절한 활동이 발견되지 않음
 
사기 클릭의 가장 손쉬운 대상은 디스플레이 광고입니다. 플랫폼만 있으면 광고를 붙이기 쉽고, 광고 노출에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CTV의 경우 유튜브나 다른 CTV 네트워크에서 광고가 지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시정하게 만드는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고요.
검색광고의 경우 광고 노출에 특정 키워드 검색이라는 조건이 있고, 광고 클릭시 우리에게 공유되는 광고비가 없기 때문에 부정 클릭의 목적이 조금 다릅니다. 광고 클릭을 통한 이익 창출이 아니라 경쟁사의 광고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죠. 하루에 쓸 수 있는 광고비는 제한되어 있고, 경쟁사의 광고를 계속 클릭해서 이른 시간에 일예산 한도에 도달하게 만든다면 그 하루의 남은 시간동안 경쟁사의 광고는 노출되지 않습니다. 광고 매체에서 부정한 클릭에 대한 사후 보상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이미 노출되지 않은 시간을 보상할 수는 없는 일이죠.
 
물론 광고매체들은 이러한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을 잡아내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관련 정책
이러한 행위가 적발되면 해당 광고 수익 계정은 바로 지급 정지 조치가 내려집니다. 하지만 완벽하지 않다는 것, 그리고 매체마다 그 수준이 너무나 크게 차이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매체들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완벽하다면 사기 클릭 시도는 많이 사라졌어야겠지만, 오히려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체에서 잡아내지 못하는 사기 클릭을 잡아내기 위해 사기 방지 프로그램들도 다수 개발되어 있습니다만, 이들 역시 오차가 많습니다. 사기 방지 프로그램들은 사기로 판단할만한 특정 조건을 갖춘 채널들에 대해 광고 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일부 플랫폼에서는 사기에 대한 오진단률이 20%를 넘기로 합니다. 제대로 광고가 나가야 할 채널들까지 차단하는 것이죠.
 
사기 방지 프로그램까지는 아니더라도 광고 클릭이 어느 지면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광고비, 노출, 클릭 상위 채널들에 대해서만이라도 가끔씩은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광고 매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Google Analytics 등에 기록된 웹사이트 세션을 비교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광고를 클릭하는 숫자가 기록되는 매체 데이터와, 실제 웹사이트에 유효하게 방문하는 숫자는 언제나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만, 그 차이가 30%, 40% 이상이 된다면 부정 클릭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웹사이트 로딩의 문제가 있는 거고요.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