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버전은 여기서 봐주세요.

 

다국어 사이트에서 국가별 타게팅이 필요한 이유

 

한국이라는 국가에서 한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는 우리는 평소 잘 생각하지 않는 개념입니다만, 언어를 특정 국가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은 다수의 국가에서 대표 언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국과 호주는 다른 국가입니다만,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 같은 언어를 이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호주에 있는 사용자에게 영국의 사이트가 먼저 노출된다? 상점 정보와 연락처를 찾고 또는 주문을 하려고 보니 영국의 사이트입니다. 그럴 경우 호주 사이트가 있는지 찾아보는 사용자도 있습니다만, 아 이 회사는 호주에서는 사업을 제대로 안 하나보다라고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발하시는 분들이 사용자가 속한 물리적 지역에 맞는 사이트로 리다이렉트 되도록 조치를 해 주시겠지만, 그렇다고 해도 앞서 언급한 타이틀과 디스크립션의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언어 뿐 아니라 국가 타게팅의 개념이 SEO에 들어간 이유입니다.

 

웹페이지의 국가 레벨 타게팅이 필요한 또 하나의 이유는 검색결과 화면에서의 중복 노출 이슈입니다. 어떤 정보를 찾았는데 한 회사의 영국 사이트, 미국 사이트, 호주 사이트, 캐나다 사이트 등이 검색화면을 가득 채웁니다. 회사 입장에서는 기쁠 수 있겠죠. 검색경쟁력이 높다는 얘기고, 경쟁 컨텐츠들을 뒤로 밀어냈으니까요. 하지만 사용자들에게는 그저 스팸으로 여겨질 뿐입니다. 검색엔진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hreflang이란?

 

다국어 사이트의 국가 레벨 타게팅에는 여러 방법이 사용되는데요, 오늘은 hreflang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reflang 태그는 지금까지 외부 SEO 컨설팅을 받지 않은 국내 기업의 사이트에서는 한번도 그 적용을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잘 사용되지 않는 태그입니다.

교포들이 있긴 합니다만 기본적으로 한국어 사이트는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국가를 타게팅하는 이 태그가 필요하지 않은 것입니다.

 

보통 웹페이지들에는 lang 태그가 사용됩니다. lang 태그는 문서의 언어, 한국어인지, 영어인지, 독일어인지를 나타냅니다. 이것은 검색엔진이 아니라 브라우저에 언어 시그널을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동번역이나 사용자 브라우저에 맞는 언어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반면 hreflang 태그는 검색엔진, 정확하게는 구글에게 컨텐츠의 언어를 말해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의 여러 언어 버전의 페이지들이 존재할 경우, 즉 다국어로 제작된 사실은 동일한 페이지들이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게 적합한 언어의 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lang 태그와 비교하며 설명드리는 것이 더 좋습니다만, HTML에 친숙하지 않은 분들께는 오히려 머리만 아픈 얘기기 때문에 오늘은 hreflang 태그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hreflang 태그의 적용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그냥 바로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hreflang 태그를 사용할 때는 다른 두개의 태그와 함께 세개의 파트로 구성해야 합니다.

link는 현재 문서와 외부 문서의 관계를 정의하는 건데요, link rel은, 지금 각각의 문서가 서로의 다른 언어 버전, 즉 대체 입니다. alternate를 씁니다.

 

그 뒤에 hreflang에는 타게팅되는 언어와 지역을 씁니다.

위의 예를 보시면 위쪽에 gb, us, es라는 폴더 아래에 동일한 이름의 html 문서가 있습니다. 페이지죠.

폴더 이름에서 우리는 각각이 영국, 미국, 그리고 스페인 타겟의 사이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영어라고 해도 gb, 영국과 us, 미국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단순히 영어, 독일어 같은 기본 언어 뿐 아니라 영국, 미국, 호주 같은 하위 도메인을 제공해서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각 국가를 타게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반면 스페인어는 es-es, 또는 es-mx 멕시코입니다, 뭐 이런 하위도메인 없이 그냥 es만 써 있습니다. 이 얘기는 세부 지역을 구분하지 말고 스페인어 사용자에게는 이 사이트를 보여주라는 의미입니다.

캐나다의 경우 20% 초반인 인구가 프랑스어를 주 언어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캐나다에는 en-ca와 fr-ca로 태그된 페이지를 별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프랑스 내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언어에 맞는 버전을 제공함은 물론, 영어로 된 미국 사이트나 프랑스 거주중인 프랑스어 사용자를 위한 사이트의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href에 각 hreflang에 대응하는 URL을 써줍니다.

각 언어 버전을 모두 이렇게 한번에 정리한 후, 언어 버전이 존재하는 모든 페이지에 넣어주면 됩니다. 모든 언어 사이트에서 페이지 구조가 완전히 같다면 모든 페이지에 넣어주면 됩니다.

 

hreflang 태그는 지난 2011년 말에 구글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제가 앞서서 hreflang이 검색엔진이 아닌 구글에게 컨텐츠의 언어를 말해준다고 말한 이유입니다. 빙이나 바이두 같은 다른 많은 검색엔진은 hreflang을 인식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컨텐트 랭귀지나 그냥 랭 태그를 이용해야 합니다. 얀덱스에는 hreflang이 사용 가능합니다.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