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버전은 여기에서 봐주세요
Canonical 태그란?
Canonical 태그는 사실상 같은, 그러나 어떠한 이유로 다르게 표현된 URL들에 대해 "얘들은 사실 같은거야"라는 관계를 검색엔진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세션 아이디라던가 사이트 내 서치 등 페이지 접근 방식에 따른 파라미터가 붙는 경우가 있고요, 같은 내용을 가진 그러나 언어가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의 예를 보시죠.
direct.lotterentacar.net/estimate/estimateStep1.do?mnCd=MNCD03001
direct.lotterentacar.net/estimate/estimateStep1.do
이 두 URL은 같은 페이지입니다만, 뒤에 파라미터가 붙은 URL이 함께 사용됩니다.
이런 경우에 검색엔진이 두 URL을 수집하지 않도록 대표 URL을 지정해주는 것이 Canonical 태그의 역할입니다.
모바일 페이지에서도 Canonical이 필요합니다. 모바일을 위한 컨텐츠를 별도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면 www.xxx.com/aaa.html과 m.xxx.coom/aaa.html은 같은 내용을 갖습니다. 이 경우에도 검색엔진이 둘 중 하나만 수집하도록(일반적으로는 www 사이트의 URL) 해줘야겠죠.
Canonical 태그의 사용법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메인으로 수집될 URL을 A, 그렇지 않은 URL을 B라고 하겠습니다.
B에는 "<link rel=“canonical” href=“A(A의 주소)” />" 이라고 적어줍니다. 파라미터로 URL만 구분된 경우 원래 웹페이지는 하나뿐이겠죠? 그렇다면 그냥 페이지의 소스에 이와 같이 파라미터가 없는 원래 주소를 사용한 Canonical 태그를 넣어줍니다.
모바일의 경우, m 사이트에는 "<link rel=“canonical” href=“www 사이트의 주소” />"를 넣어줍니다. 검색엔진에 수집될 대표 웹사이트는 www 사이트라는 얘기입니다. www 사이트에는 Canonical 대신 Alternate 태그를 사용해서 "<link rel=“alternate” href=“m 사이트의 주소” />"를 넣어줍니다. m 사이트는 www 사이트의 대체라는 의미입니다.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검색엔진최적화(SE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끔찍한 결과를 낳은 블랙햇 SEO 사례들 (0) | 2021.01.13 |
---|---|
모르면 큰일나는 블랙햇 SEO - 검색엔진최적화 101 (0) | 2021.01.11 |
다국가 웹사이트를 위한 도메인/URL 구성 - 검색엔진최적화 101 (2) | 2021.01.04 |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URL의 구성 - 검색엔진최적화 101 (0) | 2021.01.04 |
hreflang 태그로 웹사이트의 국가 타게팅이 가능하다 - 검색엔진최적화 101 (0) | 202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