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버전은 여기에서 보세요
 
우리나라에서 블로그 운영을 할 때 피할 수 없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가장 많은 검색 사용자를 가진 네이버에서는 노출에 문제가 없지만 다른 검색엔진에 잘 나오지 않습니다. 네이버가 작정하고 막는다고 말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폐쇄적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페이지 소스의 통제도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플랫폼 차원에서의 검색엔진최적화도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등을 운영한다? 네이버는 네이버 블로그 외의 플랫폼들을 블로그 섹션에서 다루지 않았습니다. 검색결과화면의 저 아래, 사람들은 있는지조차 잘 모르는 웹검색 영역에 노출시켰습니다. 최근에 통합검색과 View로 검색결과 화면이 변화했습니다만, 외부 문서에 대한 수집 품질은 끔찍한 수준입니다. 네이버는 네이버 외부 문서에 대한 수집 능력을 제대로 갖추지도 못했고, 갖출 생각도 없어 보입니다.

네이버에서 나름 인기있는 이 블로그의 글을 구글에서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검색 점유율입니다. 네이버의 검색 점유율은 낮게는 50% 후반, 높게는 60%대 중반 정도로 보입니다. 구글의 경우 평균 30% 전후로 보이며, 특히 모바일에서의 점유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어느 한 검색엔진에 맞춰 운영하기에는 놓치는 시장이 너무나 큽니다.

 
오늘은 국내 검색엔진 환경에 맞는 블로그 운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다음, 구글에 모두 노출되는 블로그 전략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이버와 티스토리 두개의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입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를 위해, 티스토리 블로그는 구글과 다음을 위한 것입니다.
티스토리 말고 다른 블로그를 사용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만, 티스토리의 경우 다음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다음에 거의 실시간으로 노출됩니다. 소스의 편집 측면에서도 자유도가 크고요.
굳이 다른 글을 올릴 필요 없이 같은 글을 두 블로그에 모두 올리는 방식으로 모든 주요 검색엔진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운영하면 한가지의 문제점이 나옵니다.
바로 블랙햇 SEO에서 언급했던 중복문서(Duplicate) 이슈입니다. 동일한 글이 두 플랫폼에서 올라오니, 어느 하나는 스팸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죠. 이것이 개별 게시물 뿐 아니라 플랫폼 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 외의 검색엔진에는 노출이 되지 않도록 하고, 티스토리 블로그는 네이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오늘 이야기의 핵심이 되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의 다음, 구글 노출 제한

일정 기간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자동으로 등록이 됩니다.
서치어드바이저의 메뉴 중에 robots.txt를 찾아 구글과 다음의 검색 봇을 차단해주면 됩니다.
이렇게만 해주면 네이버 블로그에는 구글과 다음의 검색 수집 로봇에게 이 블로그의 모든 페이지들을 수집해가지 말라는 명령을 전달하게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네이버 노출 제한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소스 내에 Noindex 메타 태그를 추가해줍니다. Robots.txt 파일의 수정이 검색엔진 크롤러 접근을 차단한다면 Noindex 태그는 페이지의 인덱싱을 막아줍니다. 이 둘의 차이와 활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다루고 오늘은 단순한 적용법만을 말씀드립니다.
각 페이지에 "네이버 검색 로봇은 이 페이지를 가져가서 보여주지 마"라는 명령어를 넣어주면 되는데요, 그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meta name="Yeti" content="noindex, nofollow"/>
Yeti는 네이버 검색 로봇의 이름인데요, 이 페이지를 수집해가지 말라는 뜻입니다.
티스토리의 스킨 수정 페이지에서 <head>와 </head> 사이에 따로 넣어줘도 되고, 메타 태그 플러그인을 통해서 넣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 멍청한 네이버가 이렇게 해도 긁어가는 일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제 경우에는 네이버를 먼저 발행하고, 티스토리를 약간 시간차를 두어 나중에 발행합니다. 네이버에서 티스토리의 컨텐츠를 확인하더라도 나중에 발행된 복제 문서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검색엔진최적화 관점에서 네이버 블로그가 갖는 문제는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기술적으로 전혀 검색엔진 친화적인 플랫폼이 아니고, 사용자가 직접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들도 차단하고 있습니다. 가장 바람직한 방향은 네이버가 검색엔진 친화적인 방향으로 블로그를 개선하는 것이지만, 네이버는 그럴 생각이 전혀 없어 보입니다. 다소 불편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다양한 검색엔진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버전은 여기에서 보세요.
 
지난 블랙햇 SEO 강의 중 자신들의 오리지널 컨텐츠가 아니라 다른 사이트들의 컨텐츠를 긁어와서 웹사이트를 채우는, Scraped Content라는 기법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사이트들의 목적이 부정한 광고수익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그와 관련된 내용을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
 
웹사이트나 블로그들에 광고들이 붙어 있습니다. 구글, 카카오, 타게팅게이츠 등 광고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소스를 우리 채널에 붙이면 그쪽에 집행되는 광고가 노출이 되고요, 우리 채널에서 사용자가 그 광고를 클릭하면 그 네트워크들은 우리에게도 광고비의 일부를 공유합니다.
작년 기준으로 가장 많은 구글 애드센스 수익을 거둔 사람은 세계적인 테크 블로그인 Mashable을 운영하는 Pete Cashmore로, 월평균 백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와… 이름이 캐쉬모어야…)
 

클릭 사기(Click Fraud)란?

방문자가 많고, 방문자들에게 매력적인 광고가 많이 붙어서 수익이 잘 나오기를 바라지만 생각만큼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욕심이 많고 마음이 비뚫어진 사람들은 부정한 방법을 생각합니다. 바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허위 클릭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바로 클릭 사기(Click Fraud)입니다. 클릭에 대한 유형이 가장 많기 때문에 클릭 사기라고 하지만, 노출형 과금 상품에는 노출 사기, 동영상 조회형 과금 상품에는 시청 사기도 존재합니다. 모두 같은 카테고리입니다. 
 
가장 흔한 클릭 사기 유형은 봇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Scraped Content와 더해진다면 아주 강력한 클릭 사기가 되겠지요. 앱에서 이루어지는 클릭 사기와 봇을 포함한 프로그램형 사기 클릭은 전체의 절반이 넘습니다.
사람에 의한 클릭 사기도 이루어지나, 이것은 자신의 광고 수익을 위해 사용되는 일은 거의 없으며, 방식의 특성상 대형으로 이루어지기도 힘듭니다.
 

클릭 사기 관련 통계

코로나로 인해 디지털 매체의 집행이 늘어난 2020년, 이 클릭 사기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 클릭 사기를 막아내는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인 PPC Protect는 10억건의 광고 클릭과 1,000억건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몇가지 인사이트를 발표했는데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검색 광고 클릭의 11%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
  • 디스플레이 광고 클릭의 36%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
  • TV 연계 디지털 광고상품인 CTV 노출의 17%는 사기 또는 부적절한 노출
  • 13%의 계정만 사기 또는 부적절한 활동이 발견되지 않음
 
사기 클릭의 가장 손쉬운 대상은 디스플레이 광고입니다. 플랫폼만 있으면 광고를 붙이기 쉽고, 광고 노출에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CTV의 경우 유튜브나 다른 CTV 네트워크에서 광고가 지속적이고 자동적으로 시정하게 만드는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고요.
검색광고의 경우 광고 노출에 특정 키워드 검색이라는 조건이 있고, 광고 클릭시 우리에게 공유되는 광고비가 없기 때문에 부정 클릭의 목적이 조금 다릅니다. 광고 클릭을 통한 이익 창출이 아니라 경쟁사의 광고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죠. 하루에 쓸 수 있는 광고비는 제한되어 있고, 경쟁사의 광고를 계속 클릭해서 이른 시간에 일예산 한도에 도달하게 만든다면 그 하루의 남은 시간동안 경쟁사의 광고는 노출되지 않습니다. 광고 매체에서 부정한 클릭에 대한 사후 보상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이미 노출되지 않은 시간을 보상할 수는 없는 일이죠.
 
물론 광고매체들은 이러한 사기 또는 부적절한 클릭을 잡아내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의 관련 정책
이러한 행위가 적발되면 해당 광고 수익 계정은 바로 지급 정지 조치가 내려집니다. 하지만 완벽하지 않다는 것, 그리고 매체마다 그 수준이 너무나 크게 차이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매체들의 모니터링 시스템이 완벽하다면 사기 클릭 시도는 많이 사라졌어야겠지만, 오히려 증가하고 있습니다.
매체에서 잡아내지 못하는 사기 클릭을 잡아내기 위해 사기 방지 프로그램들도 다수 개발되어 있습니다만, 이들 역시 오차가 많습니다. 사기 방지 프로그램들은 사기로 판단할만한 특정 조건을 갖춘 채널들에 대해 광고 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일부 플랫폼에서는 사기에 대한 오진단률이 20%를 넘기로 합니다. 제대로 광고가 나가야 할 채널들까지 차단하는 것이죠.
 
사기 방지 프로그램까지는 아니더라도 광고 클릭이 어느 지면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광고비, 노출, 클릭 상위 채널들에 대해서만이라도 가끔씩은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광고 매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Google Analytics 등에 기록된 웹사이트 세션을 비교하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광고를 클릭하는 숫자가 기록되는 매체 데이터와, 실제 웹사이트에 유효하게 방문하는 숫자는 언제나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만, 그 차이가 30%, 40% 이상이 된다면 부정 클릭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웹사이트 로딩의 문제가 있는 거고요.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버전은 여기에서 보세요.

 

검색광고와 마찬가지로 자연검색 영역에 노출되는 컨텐츠 역시 노출-클릭-전환의 과정을 갖습니다.
웹사이트의 검색엔진최적화를 충실히 수행하면 노출이 개선됩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우리의 사업 목적이 달성되지는 않습니다. 클릭이 발생하지 않는 노출은 허수와 같습니다. 물론 클릭 역시 전환이나, 하다 못해 타겟 교육 같은 목적이 따라야 하죠.

 

클릭을 높이고 전환을 위한 기본 조건을 만들어주는 검색엔진최적화 요소는 바로 페이지의 제목(Title)과 설명문구(Description)입니다. 오늘은 이 제목과 설명문구의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목과 설명문구의 역할

제목과 설명문구는 검색결과 화면에서 보여지는 두개의 기본 요소입니다. 사이트링크와 각종 스니펫을 통해 제공되는 확장 요소들이 있지만, 아무런 설정이 없는 경우에도 검색엔진은 이 두개의 요소를 검색결과 화면에 제공합니다. 달리 말하면 제목과 설명문구는 기본적인 환경에서 사용자의 클릭을 유도하는 유이한 요소가 됩니다.
 

제목과 설명문구의 길이가 중요한 이유

웹페이지의 제목과 설명문구는 길이 제한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제한이 있다는 것은, 검색광고처럼 정해진 길이를 넘어설 경우 등록이 불가능하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등록은 가능하지만 검색결과 화면에서 보여지는 길이를 넘어설 경우 ...으로 내용이 잘려 제공됩니다. 만일 우리의 제목과 설명문구가 지나치게 길고,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정보가 뒤쪽에 있어 검색결과화면에 보여지지 않는다면 그 제목과 설명문구는 기대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웹페이지의 제목과 설명문구는 가능하면 검색엔진이 소화하는 길이에 맞추고, 특별한 사정으로 그 길이를 넘어서야 한다면 중요한 정보를 앞쪽에 배치하도록 합니다. 웹페이지의 제목과 설명문구는 검색광고에 비해 상당히 긴 길이를 소화하므로, 정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이 제한을 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제한 길이는 검색엔진마다 다르고, 같은 검색엔진에서도 조금씩 달라집니다. 따라서 검색엔진의 변화를 가끔이라도 모니터링하고, ...으로 잘리는 링크들의 길이를 확인한 후 그보다 조금 짧게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구글의 경우 제목 60자, 설명문구 150자 정도로 보시면 무리가 없습니다.
구글에 노출되는 사이트들의 평균 제목과 설명문구 길이
 

제목과 설명문구는 순위 결정요소(ranking factor)인가?

제목은 순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때는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가졌으나, 더 이상은 아닙니다. 제목 작업만으로 노출 상위에 오를 수는 없습니다.
설명문구의 경우 순위 결정 요소가 아닙니다.
하지만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둘은 거의 유이하고 강력한 클릭 요소입니다.
 

제목과 설명문구 작성법

키워드

검색광고와 마찬가지로 제목과 설명문구에 타겟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링크가 자신의 관심사에 보다 관련있다고 생각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광고의 경우 글자수가 많이 제한되기 때문에 키워드를 여러번 반복할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제한되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웹페이지의 경우 글자수의 여유가 있으므로 반복의 부담이 없습니다. 물론 자연스러운 경우에 말이죠. 스팸성으로 키워드를 넣으시면 안됩니다.
잘못 작성된 사례입니다

검색 의도 및 사전 경험

제목과 설명문구의 내용은 단순히 사용자의 눈을 사로잡는 것이 아니라 방문 페이지의 사전 경험을 제공해야 합니다.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클릭한 후 방문하게 될 페이지가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질 경우 클릭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검색결과화면에서 제목과 설명문구를 통해 자신들이 갖게 된 기대와 방문 후의 경험이 다를 경우 바로 이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의미없는 브랜드 홍보 내용이나 클릭만을 목적으로 하는 낚시 메시지보다는 해당 페이지에서 사용자들이 경험하게 될 정보와 컨텐츠 요소를 우선해서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들의 기대에 맞춰서 말이죠.

USP(Unique Selling Point)

네이버는 한 영역에 최대 열개, 그리고 여러 영역의 검색광고를 제공합니다만 구글은 최대 4개의 검색광고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자연검색 컨텐츠는 한 페이지에 10개가 노출됩니다. 검색광고보다 더 많은 클릭 경쟁을 하게 된다는 말이죠. 그렇다면 10개의 링크들 중 클릭을 받기 위한 차별적이고 우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CTA(Call-to-action)

사전 경험의 한 부분입니다만, 중요한 부분이라서 별도로 다룹니다. 웹사이트에 우리가 사용자로부터 기대하는 행동 요소가 있다면, 그것들을 설명문구에서 언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일 없이 24시간 상담 쿠폰 다운로드, 비회원 간단구매, 설치동영상 확인 등입니다. 우리가 그것들을 웹페이지에 넣은 이유는 우리 뿐 아니라 사용자들에게도 의미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들에게 의미있는 요소가 웹페이지에 있음을 알림으로써 클릭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ownload"라는 CTA를 사용한 예

독립성

각 페이지는 독립적인 제목과 설명문구를 전달해야 합니다. 앞의 작성법을 생각해보면 당연히 독립적이 되겠지요. 특히 제목의 경우 검색결과화면에 보여지는 것 외에 Google Analytics에서 페이지 제목별로 성과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요, 웹접근성 강화 인증에서 필수 대상 항목이기 때문에 반드시 모든 페이지가 독립적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소셜에 공유되는 정보를 위해 OG 태그가 사용되는데요, 이 역시 독립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페이지별로 독립적이지 못한 제목을 사용한 예
 

변수와 팁

상이한 내용 노출

검색엔진이 늘 페이지에 등록된 제목과 설명문구를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검색엔진이 볼 때 이 제목과 설명문구가 페이지의 내용과 너무 다르다면 여러분이 등록한 것과 다른 내용을 노출할 수도 있습니다.

형식

일반적으로 한 사이트의 제목은 동일한 형식을 갖습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의도를 생각해보면 꼭 그래야만 하는가라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어떤 키워드는 공식 사이트의 정보를 찾는 사람들이 찾을 것이고, 어떤 키워드는 사이트와 상관 없이 제품 또는 정보 자체가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IR자료, 채용정보, 회사소개 등은 공식 사이트가 먼저 눈에 들어오겠죠. 그렇다면 그 페이지가 갖는 사용자 의도에 따라 어떤 페이지는 공식 사이트를 제목의 앞에 두고, 어떤 페이지는 페이지 내용을 제목의 앞에 둘 수 있습니다.

자동화

자동으로 생성되는 페이지나 꾸준히 업데이트되는 페이지 같은 경우 매번 형식에 맞춰 태그들을 개별 작업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미 수백 수천개의 컨텐츠가 올려져 있는 사이트를 최적화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럴때는 페이지의 특정 영역을 페이지 제목과 설명문구 태그에 자동으로 삽입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페이지 내 요소(연예인 이름)가 제목에 자동 삽입되도록 컨설팅한 예

 

제목과 설명문구 태그는 검색광고 문구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검색광고 문구는 하나하나 컨펌을 받고 성과 개선을 위해 AB테스트를 하면서 자연검색 영역에 노출되는 페이지의 제목과 설명문구는 신경쓰지 않는다? 아주 잘못된 것입니다.

 

글쓴이 이환선

서울과 시드니에 기반을 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인 주식회사 BALC(발크)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으며, 유튜브 "검색요정의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